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1. 국민의힘 지도부 또 바뀌는 거에요? <br><br>국민의힘 '지도부 잔혹사'를 쓰고 있는데요. <br> <br>민주당과 확연히 비교됩니다. <br> <br>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2022년 8월 대표로 선출됐고 연임까지 성공하면서 2년 4개월 째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대선 이후 민주당은 사실상 이 대표 한 명이었는데, 국민의힘은 이준석, 김기현 전 대표를 거쳐 한동훈 대표까지, 대표만 3명이었고요. <br> <br>그 사이 비대위원장들까지 당의 얼굴이 7번이나 바뀌게 된 겁니다.<br><br>Q2. 이러니 여당이 안정될리가 없죠? <br><br>돌이켜보면, 사실 패턴도 늘 비슷합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당 대표와 갈등을 빚다가, 대표가 물러나고, 그러면 대통령과 가까운 비대위원장이 들어오고, 다시 대표 뽑고 이런 형태죠. <br> <br>이준석 전 대표, 대선 때부터 윤 대통령과 갈등이 쌓였다가, 윤리위 징계로 물러났고, 친윤 정진석 비대위원장이 뒤를 이었죠. <br> <br>친윤계 등에 업고 당선됐던 김기현 전 대표, 총선 앞두고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책임지고 물러났고, 당시 대통령 측근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비대위원장으로 등판했었죠. <br> <br>그런데 앞서 보신대로 1년 동안 한 대표와 갈등을 빚다, 결국 당에서 쫓겨난 모양새가 됐습니다.<br><br>Q3. 그럼 또 다시 친윤 비대위원장이 오는 거에요? <br><br>오늘 당 중진들이 모여서 논의했는데요, <br> <br>내부 기류 취재해보니까요.<br><br>"사실상 5선 원내 의원이 하는 게 적합하다"는 의견이 모인 걸로 전해집니다. <br><br>5선 의원들 중에, 부의장인 주호영 의원 제외하면, 권영세, 나경원, 권성동 의원 등 친윤과 가까운 성향들이죠.<br><br>친한계 조경태 의원은 "내란 동조 정당이 되면 안 된다"며 반대했지만, '친윤 성향의 현역 중진의원'으로 일단 대세가 잡혀 가는 상황입니다.<br> <br>Q4. 지난 의총에선 탄핵 찬성한 사람들 색출해서 쫓아내라 이런 목소리도 있었는데, 오늘 의총엔 그런 건 안 나왔어요? <br><br>외부에선 홍준표 대구시장처럼 탄핵 가결한 친한계 징계해서 쫓아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오늘 의총은 그런 갈등 분위기는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윤상현 의원은 "탄핵 찬성 의원들 역시 우리 가슴에서 지울 수 없는 동지들"이라고 했는데요.<br> <br>지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바른정당과 나뉘어지면서 손도 못 써보고 대선 내준 경험이 있는터라 일단 뭉쳐야 한다는 위기감이 있습니다.<br><br>친한계도 당장 탈당할 분위기는 아닙니다.<br> <br>Q5. 여론은 어때요? <br><br>오늘 지지율 조사를 보면, 여당의 위기는 뚜렷합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50%를 돌파했고, 국민의힘, 반토막입니다. <br><br>25.7%, 현 정부 최저칩니다.<br><br>서울과 인천경기, 즉 수도권에서는 20%포인트 이상, 30%포인트까지도 격차 커졌고요.<br> <br>하지만 눈에 띄는 건 지지기반인 TK지역에서 지난주보다 5%포인트 정도, 반등했거든요. <br><br>보수 결집 조짐도 보이기는 합니다.<br><br>Q6. 한동훈 대표는 나갔어요. 당 수습책이 있습니까? <br><br>이제 대통령도 직무정지 상태라 오롯이 당 내에서 수습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인데요. <br><br>오늘 의원총회를 열었지만 전혀 의견이 모아지지 않았다고 합니다. <br><br>친윤, 친한으로 나뉘어졌었는데 친한이 물러난 상황, 그렇다고 친윤이 맡자니 계엄을 막지 못한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> <br>권성동 당 대표 권한대행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. <br> <br>Q7. 한동훈 대표는 이제 어떻게 할까요. <br><br>한동훈 대표 오늘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습니다. <br> <br>사퇴 기자회견 끝나고 가다 지지자들에게 "포기하지 않겠다" "제가 여러분을 지키겠다"고 했습니다.<br><br>정치를 계속할 뜻을 명확히 밝힌거죠.<br> <br>지금 한 대표는 친한계 의원들과 만찬도 갖고 있는데요. <br><br>하지만 먹구름이 가득 끼어 있습니다. <br> <br>여당 대표라는 중책을 맡았지만, 당을 장악하지 못하고, 분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자기 중심의 '검사 정치' 한계를 드러냈다는 불신이 큰 상황입니다. <br><br>대통령 계엄과 이후 탄핵 국면에서 지혜를 모으지도 못했고요. <br> <br>하지만 친윤 정당 고립을 피하기 위해 대선 과정에서 기회가 올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.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이세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